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이재킹> 역사적 사건, 주요 캐릭터, 사회적 메시지

by 폼므 2024. 6. 24.

 

 

역사적 사건 

영화는 실제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진행한다. 그 사건은 1971년 1월 23일 오후에 발생했던 하이재킹 사건으로 당시 승객 55명과 승무원 5명을 태우고 속초공항에서 김포국제공항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포커 27이  홍천 상공에서 하이재킹을 당해 납북될 뻔했던 사건이다. 사건에 대해 자세히 풀어보면, 당시 항공기에는 5명의 승무원이 탑승하고 있었다. 공군 대령 출신의 기장 이강흔, 625에 참전했던 베테랑 조종사인 부기장 박완규, 육군항공대 조종사 출신인 수습 조종사 전명세, 항공 보안관 최천인 그리고 객실 승무원 최석자가 탑승해 있었다. 납치범 김성태는 당시 22세 무직으로, 강원도 고성군에 거주하고 있었다. 납치 이유는 사살되어 확인이 어려웠지만, 추측에 의하면 납북에 성공한 공작원들이 북한에서 엄청난 대접을 받았다는 기사를 보고 사건을 일으켰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의 행적으로 보아 간첩이라고 확인했으나, 군, 경찰과 중앙정보부에서 수사한 결과 간첩은 아닌 것으로 결론지었다. 

 포커27이 이륙한 지 27분 후 폭발물 2개가 폭발하고, 기체에 20cm 크기의 구멍이 났으며 잠겨있던 조종실의 문이 부서졌다. 조종신 물이 부서지마 김상태는 조종사들에서 북으로 기수를 돌릴 것을 명했고, 기장은 협박에 순응하는 척하며 기수를 북쪽으로 돌린 후 강원도 고성군에 비상착륙하기로 했다. 하지만 고성군에 접근하며 북한에 다 왔다고 랜딩기어를 내리던 중 범인이 알아채 조종사들은 할 수 없이 계속 북으로 향했다. 폭탄이 터지자마자 비행기의 납치 사건을 안 공군은 바로 출격했고 납치 15분 만에 포커 27과 조우했다. 그 후 승무원들의 기지로 범인을 속였고, 그 틈을 타 항공보안관과 수습 조종사가 김상태를 제압했다. 하지만 그 순간 폭탄이 떨어지며 점화되었고 수습 조종사가 그것을 몸으로 덮어 피해를 최소화했으나 그는 큰 중상을 입고 말았다. 범인이 제압되고 이륙한 지 1시간 11분 후 비행기는 바닷가에 불시착했고, 승객들은 대부분 가벼운 부상만 입었으나 승무원들은 중상을 입었다. 폭발물을 몸으로 덮었던 조종사는 결국 과다출혈로 사망하고 말았다. 

 

 

주요 캐릭터

태인 (하정우) : 여객기의 부기장으로 실제 사건 당시 부기장이었던 박완규와 수습 조종사였던 전명세를 모티브로 한다.

이용대 (여진구) : 여객기의 납치범으로, 실제 사건의 범인을 모티브로 하지만 영화 속에서는 부패한 경찰들이 책에다가 몰라 불온선전물을 넣어서 빨갱이라는 누명을 쓰고 감옥에 간 동안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그 일에 대한 복수로 이같은 일을 시도했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규식 (성동일) :  여객기의 기장으로, 실제 사건의 기장을 모티브로 한다.

이옥순 (채수빈) : 여객기의 승무원으로, 실제 사건 당시 승무원을 모티브로 한다. 

최동철 (김동욱) : 공군 조종사이며, 부기장 태인의 후배로 예전 납북 사건때 태인과 출격했던 인물이다.

창배 (문유강) : 항공 보안관으로, 실제 사건에서 기내 보안관을 모티브로 한다.

 

 

사회적 메시지

이 영화는 극적인 상황 속에서 인간의 본성과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탐구하는 작품이다. 실제 비행기 납치 사건을 배경으로 하여, 극한의 상황에서 등장인물들이 어떻게 행동하게 되는지를 탐구한다. 납치범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점점 더 폭력적으로 변하고, 그로 인해 탑승객들은 생존을 위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과 도덕적인 고민을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또 다양한 사회적 배경과 신념을 가진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입장을 고수하며 대립하게 되는데 이 것은 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단순한 범죄 스릴러를 넘어서, 사회적 차별과 서로에 대한 이해 부족이 극단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심화될 수 있는지 엿볼 수 있다. 또 영화는 개인의 선택이 사회적 책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며, 이는 현대 사회의 민주주의와 범과 질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묘사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화는 희생과 구원 사이의 복잡한 갈등을 보여주며, 어떤 상황에서는 희생이 최선의 선택일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선택의 복잡성에 대한 생각을 유도한다.